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는 이야기/주말 농장

(48)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32주차 (11월 20일) : 무 수확 32주 동안의 주말농장을 마무리 하는 날 튼실한 무 수확을 기대했건만 별로 신통치 않다. 몇개밖에 건질 게 없다. 누가 지지배 아니랄까봐 주말농장에 흥미를 못느끼는 딸램은 돗자리 펴고 누우심 아예 찾지도 않은 며느리 대신해서 할배, 할매가 주말농장 뒷정리 주변 다른 텃밭들도 이제 파장 분위기 자잘하게 건진 무가 제법 되긴 하다. 하지만 기대보다 실한 무가 별로 없었다.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24~26주차 (9월 24일~10월 9일) : 땅콩 수확과 볶아 먹기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24~26주차 (9월 24일~10월 9일) : 땅콩 수확과 볶아 먹기 무와 땅콩 색깔이 좋지 않은 무 땅콩 9월 24일 무 9월 24일 땅콩 수확 9월 24일 9월 28일 땅콩을 집에서 말림 9월 30일 25주차 10월 1일 10월 1일 10월 6일 10월 9일 10월 9일 땅콩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22주차 (9월 10일) : 잘 자라는 무와 땅콩 9월로 접어드니 확실히 잡초 자라는 게 줄어든다. 2주만에 찾았는데 잡초가 조금 있지만 크게 힘들지 않을 수준이다. 2주전 8월 25일 모종을 심은 무 모종은 잘 자라고 있다. 재작년 배추를 재배해보니 벌레가 많아서 무만 심었는데 올해 배추가 금값이라는 소리를 들으니 배추도 심을껄 하는 아쉬움이 든다. 4월 24일 모종을 심은 땅콩은 풍성해졌다. 곧 수확할 때가 다가온다. 잎이 조금 누래지면 수확하라고 하는데 추석 지나고 수확하는 걸 검토해봐야겠다. 강서구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의 텃밭 22주차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20주차 (8월 25일) : 무 모종을 심다 8월 14일 이후 열흘 정도만에 찾은 주말농장의 우리 가족 텃밭. 옆의 텃밭은 너무 하다. 관리를 전혀하지 않으니 잡초로 우거져 있다. 물론 우리 텃밭도 주변부는 잡초가 어른 허리 높이를 넘게 자라 있다. 작정하고 삽으로 잡초도 파 버리고, 남아 있는 옥수수나 파프리카 줄기도 그냥 과감하게 뽑아 버렸다. 이제 텃밭에 남아 있는 것은 4월 24일 모종을 심은 땅콩 밖에 없다. 속속들이 살펴보지 않았지만 일단 잘 자라는 모습이다. 땅콩 뒷쪽의 옥수수가 있던 자리도 다 뽑아버리고 흙을 다졌다. 땅콩을 제외한 텃밭의 다른 빈자리. 원래 상추와 파프리카, 옥수수가 자라던 곳에 무를 심기로 했다. 재작년에 김장 무를 길러서 잘 먹었던 기억이 있다. 배추는 벌레가 많이 끼어서 키우기 힘들었는데 무는 비교적 벌레도 없..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18주차 (8월 14일) : 옥수수와 파프리카 수확 8월 중순이 된 강서구 주말농장 오곡텃밭농장은 푸른 녹색으로 가득차 있다. 우리 텃밭도 작물과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있다. 4월 26일 모종을 심은 파프리카 8월 14일 모습. 생각보다 열매가 제대로 익지 않는다. 너무 무더운 날씨 탓인가. 완전히 노래지지도 않고 몇개는 물러서 땅에 떨어져 있다. 이제 정리할 때가 된 듯 싶다. 땅콩은 가을에 수확해야 하니 좀더 기다려본다. 아직 다들 싱싱해보인다. 옥수수도 이제 더 기다릴수가 없는 상태다. 수확하는 타이밍을 좀 지나버린 것 같다. 그래도 옥수수 자루를 열어보니 몇개는 쓸만하다. 그나마 쓸만해보이는 옥수수와 파프리카를 수확했다. 옥수수 자루를 벗겨보니 벌레 먹은 게 많다. 옥수수 6개 건지고, 파프리카도 어설프게 2개 건졌다. 집에 와서 옥수수를 삶았는데..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16주차 (7월 31일) : 파프리카 색깔이 변하기 시작하다 주말농장 텃밭도 위치가 중요하다. 바로 옆의 텃밭이 관리를 하나도 안하는 모양이다. 상추가 나무처럼 자라고 잡초밭으로 변해 있다. 그러니 우리 텃밭도 지저분해보인다. 잡초도 옮겨오는 느낌이다. 4월 26일 모종을 심은 파프리카 7월 31일 모습 피망 같이 파랗기만 하던 파프리카가 드디어 노란색으로 변했다. 만 3개월만이다. 아직 완전하지는 않기에 수확하지는 않았다. 4월 26일 모종을 심은 땅콩 7월 31일 모습. 잡초도 중간에 좀 섞여 있지만 기왕 지금은 통제가 안되는 시기라서 그냥 놔둘 수밖에 없다. 옥수수는 영 힘이 없다. 싱싱함이 사라지고 있다. 속에는 아직 옥수수 자루가 자라기 시작하는 것도 보여서 일단 더 기다려보기로 한다. 초록색으로 가득한 오곡텃밭농장의 7월 31일 모습.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14주차 (7월 17일) : 땅콩 뿌리도 보인다 7월로 접어드니 주변 텃밭의 작물과 잡초 자라는 속도가 장난이 아니다. 파프리카는 언제 수확해야 하나 기다리는 중 4월 26일 모종을 심은 파프리카 4월 26일 모종을 심은 땅콩 땅콩도 밑에 뿌리가 땅 위로도 보이기 시작한다. 저렇게 밖으로 나온 뿌리 밑으로 땅콩이 달리는 거다. 옥수수도 잘 자라기는 하는데 다른 텃밭 옥수수에 비해서 싱싱함이 떨어진다. 옥수수 자루가 크게 자리 잡힌게 보이지만 아직 몇개 뿐이다. 좀더 참자. 7월 중순의 오곡텃밭농장은 각 텃밭마다 수확하는 작물과 관리 안하는 텃밭은 잡초로 우거져 있다.
오곡텃밭농장 주말농장 13주차 (7월 10일) : 제법 튼실해진 옥수수 6월 19일 이후 오랫만에 찾은 주말농장. 역시 방심한 틈을 타서 잡초까지 무럭무럭 자랐다. 이렇게 잡초가 많아지면 귀찮아지기 시작한다. 상추는 1달반 정도가 적당하다. 4월 16일 씨앗을 심은 상추는 더이상 따먹기에는 싱싱한 느낌이 없다. 상추를 뿌리까지 다 뽑아버렸다. 조카를 데려가서 정리하는 데 도움을 받기는 했으나 한계가 있다. 4월 26일 모종을 심은 파프리카 파프리카가 제법 크게 자랐다. 하지만 아직 파랗다. 피망과 똑같이 생겼다. 파프리카는 원래 피망을 개량한 것이라고 하는데 저렇게 파랗게 자란 후에 어느 정도 지나면 색깔이 칼라로 변한다고 한다. 나는 노랑 파프리카를 심었는데 언제 변할까. 싱싱해보이는 게 지금 뽑고 싶었지만 참았다. 땅콩도 병치레 없이 잘 자란다. 주말농장이라고 하지만 매..

반응형